본문 바로가기

주식

[프로그램 매매]에 대하여 :산출(식별) 방식

 

프로그램 매매란 자동화 주문이다. 그래서 생긴 의문점은 거래소에서 해당 거래의 식별 방식이다.
식별이 가능하니 산출하여 해당 내용을 제공하는 것이 아닌가
 
 
ChatGPT에게 물었다
 
"매매 방법이 자동화된 주문인지 아닌지 거래소에서 그걸 어떻게 알아?"
 └ "그럼 차익 거래랑 비차익 거래 식별은 어떻게 하는거야?"
 └ "개인이 자동주문 걸어둔 건 프로그램 매매 수급으로 잡혀?"
 
 
ChatGPT에게 물어본 내용은 아래에 있고 내용 및 결론을 먼저 얘기한다.
 
  • 개인의 자동매매는 프로그램 매매로 산정하지 않는다.
  • 기관/외국인의 매매는 대부분 프로그램 매매이다.
  • 실제로 수급을 보면 [프로그램 수급]과 [외국인+기관 수급]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
    프로그램 매매자체 수급은 큰 의미가 없다.(외국인 / 기관 수급을 보면 된다.)
  • 한국에서 금융투자(증권사+자산운용사)가 차익거래를 주요 전략으로 사용하는데, 종목/섹터에 대한 의견을 반영한 매매가 아니기 때문에 금융투자의 수급에 의미를 두지 않는다.

[결론]
외국인/기관은 각 전략에 맞는 매매를 하기위해 대부분의 매매를 알고리즘(프로그램)을 이용한다. 따라서 개인 외 수급을 프로그램 매매 수급으로 인식하여도 무관하다. 차익거래는 현/선물 가격차이를 이용한 무위험 수익을 위한 거래임으로 비차익거래 수급을 통하여 섹터/종목에 대한 생각을 읽을 수 있다.

 
 

 


 
ChatGPT에게 물었다
 
 
"매매 방법이 자동화된 주문인지 아닌지 거래소에서 그걸 어떻게 알아?"
 
 

ChatGPT의 말:


1. 거래소가 프로그램 매매를 식별하는 방식

한국거래소(KRX)와 같은 증권 거래소는 주문 경로 및 주문 유형을 추적하여 프로그램 매매 여부를 판단합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기준을 사용합니다.

(1) 주문 유형에 따른 구분

거래소에서는 주문이 자동화된 시스템(Algorithmic Trading, 프로그램 매매)에서 생성된 것인지, 사람이 직접 입력한 것인지를 구별할 수 있도록 주문 정보를 포함합니다.

  • 프로그램 매매(자동화된 주문)
    • 기관 및 외국인 투자자가 HTS(MTS)가 아닌 API 및 DMA(Direct Market Access)를 통해 직접 주문 전송
    • HTS, OMS(Order Management System), EMS(Execution Management System) 등 알고리즘 기반 시스템에서 실행된 주문
    • 한국거래소의 "프로그램 매매 주문 코드"가 포함됨
  • 일반 주문(수동 주문)
    • 개인 및 기관 투자자가 HTS(MTS)에서 직접 입력한 주문
    • 거래소 시스템에서는 "수동 주문"으로 구분
    • 프로그램 매매 주문 코드가 없음

(2) 주문 전송 방식 분석

📌 거래소는 매매 주문이 어떤 방식으로 전송되었는지를 확인하여 프로그램 매매 여부를 판단합니다.

  • DMA(Direct Market Access, 직접 시장 접근) 사용 여부
    • 기관 및 외국인은 보통 증권사를 거치지 않고 거래소와 직접 연결된 API 또는 알고리즘 시스템을 통해 주문을 실행
    • 거래소는 이러한 주문을 프로그램 매매로 분류
  • 고빈도 거래(HFT, High-Frequency Trading) 감지
    • 매우 짧은 시간 간격(밀리초 단위)으로 반복적으로 주문이 체결되는 경우
    • 사람이 직접 입력하기 힘든 속도로 주문이 발생하면 자동화된 주문으로 분류됨
  • 주문 패턴 분석
    • 대량의 주문이 동시에 특정 종목에 집중되거나 일정한 패턴으로 반복되는 경우
    • 일정한 가격 구간에서 지속적으로 체결되는 주문이 감지되면 알고리즘 트레이딩으로 분류됨

(3) 거래소에서 별도로 "프로그램 매매"로 신고된 주문 여부

  • 한국거래소는 증권사 및 기관 투자자로부터 "이 주문이 프로그램 매매인지 여부"를 신고받음
  • 따라서 증권사는 자체적으로 주문이 수동 입력인지, 자동 알고리즘인지 구분하여 한국거래소에 전송
  • 거래소는 이를 기반으로 "프로그램 매매 현황" 데이터를 제공

2. 프로그램 매매 주문의 주요 특징

거래소에서 프로그램 매매를 감지할 수 있는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프로그램 매매(자동화) 일반 주문(수동)
주문 방식 API, 알고리즘, EMS 사용 HTS/MTS에서 직접 입력
주문 속도 초당 수백~수천 건 가능 사람이 직접 입력하므로 상대적으로 느림
주문 패턴 반복적인 대량 주문 발생 주문 패턴이 일정하지 않음
거래소 신고 여부 프로그램 매매로 신고됨 별도 신고 없음

3. 결론

거래소는 주문의 전송 방식, 주문 속도, 패턴, DMA(Direct Market Access) 사용 여부 등을 분석하여 프로그램 매매를 식별함
증권사 및 기관 투자자는 거래소에 프로그램 매매 여부를 신고해야 하므로, 한국거래소는 프로그램 매매 데이터를 공식적으로 제공 가능
고빈도 거래(HFT) 등 초단타 자동 매매는 주문 속도와 패턴을 기반으로 탐지됨

즉, 거래소는 주문이 전송되는 방식을 추적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신고된 데이터 및 알고리즘 패턴을 기반으로 프로그램 매매를 감지하고 있습니다. 🚀

 

 


 

 ChatGPT에게 다시 물었다

 

 
"그럼 차익 거래랑 비차익 거래 식별은 어떻게 하는거야?"
 
 
ChatGPT의 말:

 

거래소가 **차익거래(Arbitrage Trading)**와 **비차익거래(Non-Arbitrage Trading)**를 식별하는 방법은 주문 발생 방식, 매매 목적, 선물·옵션과의 연계 여부 등을 분석하여 판단합니다.


1. 차익거래 vs 비차익거래 구분 기준

구분 차익거래 비차익 거래
거래 목적 선물·옵션과 현물 가격 차이를 이용한 수익 창출 특정 종목을 직접 사고팔기 위한 투자
거래 연계 여부 선물·옵션과 연계된 매매 발생 선물·옵션과 무관한 매매
거래 주체 주로 기관(헤지펀드, 투자은행 등) 기관, 외국인, 일반 투자자
매매 방식 프로그램 매매 비중 높음 수동 주문 및 프로그램 매매 혼재

 


2. 차익거래(Arbitrage) 식별 방법

차익거래는 선물·옵션과 현물(주식) 가격 차이를 이용한 거래이므로, 거래소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차익거래 여부를 구분합니다.

(1) 차익거래 여부는 선물·옵션과 연계된 주문인지 확인하여 판단

📌 한국거래소(KRX)는 프로그램 매매 주문이 선물·옵션과 연계되어 발생하는지 확인하여 차익거래인지 식별합니다.

  • 프로그램 매매 주문이 들어왔을 때 동일 시점에 선물·옵션에서 반대 포지션이 발생하면 차익거래로 분류
    • 예) 코스피200 선물이 오를 때 현물 주식을 대량 매수하는 경우 → 차익거래
    • 예) 코스피200 선물이 내릴 때 현물 주식을 대량 매도하는 경우 → 차익거래

(2) 매매 패턴 분석

📌 차익거래는 현물과 선물 간의 가격 차이(베이시스)를 이용해 자동으로 주문이 발생하기 때문에 거래 패턴이 일반 주문과 다릅니다.

  • 베이시스(Basis) = 현물 가격 - 선물 가격
    • 베이시스가 크면(+) → 매도 차익거래 (현물 매도 + 선물 매수)
    • 베이시스가 작으면(-) → 매수 차익거래 (현물 매수 + 선물 매도)
  • 선물 가격과 연동된 현물 매매가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 차익거래로 판단

(3) 프로그램 매매 신고 데이터 활용

📌 거래소에서는 증권사 및 기관이 제출한 프로그램 매매 신고 데이터를 분석하여 차익거래 여부를 식별합니다.

  • 프로그램 매매 주문이 차익거래로 신고된 경우 → 차익거래로 자동 분류
  • 프로그램 매매 주문이 차익거래 목적이 아닌 경우 → 비차익거래로 분류

3. 비차익거래(Non-Arbitrage) 식별 방법

비차익거래는 선물·옵션과 관계없이 개별 주식을 사고파는 거래를 의미하며,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식별됩니다.

(1) 선물·옵션 연계 여부 확인

  • 프로그램 매매 주문이 들어왔을 때 동일 시점에 선물·옵션에서 반대 포지션이 없으면 비차익거래로 판단
    • 예)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에너지솔루션 같은 개별 종목을 대량 매수하는 경우 → 비차익거래
    • 예) 외국인이 특정 종목을 집중적으로 매도하는 경우 → 비차익거래

(2) 거래 목적 분석

비차익거래는 수익을 목적으로 특정 종목을 직접 매수하거나 매도하는 거래입니다.

  • 기관이 포트폴리오를 조정하기 위해 매매하는 경우 → 비차익거래
  • 외국인이 글로벌 매크로 전략에 따라 특정 업종을 집중 매수/매도하는 경우 → 비차익거래

(3) 패턴 분석

비차익거래는 일반적인 수급 흐름을 따르며, 선물과 연계되지 않은 대량 매매가 발생합니다.

  • 특정 종목에서 장중 지속적으로 매수 또는 매도가 진행되는 경우 → 비차익거래로 판단
  • 외국인이 장기적인 투자 목적으로 순매수하는 경우 → 비차익거래

4. 거래소에서 차익거래와 비차익거래를 어떻게 발표하나?

한국거래소(KRX)는 프로그램 매매 현황을 발표할 때 차익거래와 비차익거래를 따로 구분하여 제공합니다.

📌 확인 방법:

  1. 한국거래소(KRX) 홈페이지(https://www.krx.co.kr) → 시장정보 → 투자자별 매매동향 → 프로그램 매매
  2. 프로그램 매매에서 차익거래/비차익거래 순매수·순매도 현황을 확인

📌 결론

차익거래는 선물·옵션과 현물 간 가격 차이를 이용한 거래이므로, 거래소는 선물·옵션과 연계된 매매 패턴을 분석하여 식별
비차익거래는 선물·옵션과 무관한 개별 종목 매매이므로, 특정 주식의 대량 거래 및 외국인·기관의 투자 패턴을 분석하여 구분
거래소는 증권사가 제출한 프로그램 매매 신고 데이터와 실시간 주문 흐름을 분석하여 차익거래와 비차익거래를 공식 발표

즉, 거래소는 주문 방식(자동화 여부), 선물·옵션 연계 여부, 주문 패턴 분석 등을 통해 차익거래와 비차익거래를 구분합니다. 🚀

 

 


 ChatGPT에게 또 다시 물었다

 

" 개인이 자동주문 걸어둔 건 프로그램 매매 수급으로 잡혀?"

 
 
ChatGPT의 말:

 

 

아니, 개인이 자동 주문을 걸어둔 것은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매매 수급으로 포함되지 않습니다.


1. 개인 자동 주문 vs 프로그램 매매의 차이

거래소에서 프로그램 매매로 분류하는 기준은 주문 경로와 방식에 따라 결정됩니다.

구분개인 자동 주문프로그램 매매

주문 주체 개인 투자자 기관, 외국인, 일부 증권사
주문 방식 HTS/MTS에서 예약 주문, 스탑로스, 조건부 주문 API, DMA, 알고리즘 트레이딩 시스템
거래소 신고 여부 X (거래소에 별도 신고 없음) O (프로그램 매매로 거래소에 분류)
주문 패턴 개별 투자자가 설정한 조건 충족 시 실행 대량 주문, 고빈도 거래, 알고리즘 기반

2. 거래소가 "프로그램 매매"로 분류하는 기준

📌 프로그램 매매로 잡히는 주문
✅ 기관·외국인이 API 또는 알고리즘 트레이딩을 통해 자동 주문을 실행
✅ 선물·옵션과 연계된 차익거래 프로그램이 작동하는 경우
✅ 증권사가 직접 시장 조성 목적으로 자동 매매하는 경우

📌 프로그램 매매로 잡히지 않는 주문
🚫 개인 투자자가 HTS/MTS에서 예약매매, 스탑로스, 조건부 주문 등을 설정한 경우
🚫 단순 지정가/시장가 주문이 자동으로 실행된 경우
🚫 개인이 특정 봇(자동매매 프로그램)을 사용해 주문을 넣어도, 기관의 대량 주문처럼 보이지 않는 경우


3. 예제: 개인 자동 주문이 프로그램 매매로 잡히는지 여부

📍 사례 1: 개인이 MTS에서 "10만 원 이상 되면 매도" 예약주문 설정
→ ❌ 프로그램 매매 아님 (일반 주문으로 처리됨)

📍 사례 2: 개인이 키움증권 API를 이용해 알고리즘 매매 프로그램을 만들어 자동 매수·매도
→ ❌ 프로그램 매매 아님 (개인 자동 주문이므로 일반 매매로 처리됨)

📍 사례 3: 기관이 AI 기반 알고리즘 트레이딩을 통해 대량 주문
→ ✅ 프로그램 매매 수급에 포함됨

📍 사례 4: 헤지펀드가 선물·현물 차익거래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매수·매도 주문
→ ✅ 프로그램 매매 수급에 포함됨


📌 결론

✔ 개인이 HTS/MTS에서 예약 주문, 조건부 주문, 스탑로스를 설정해 자동으로 체결되는 것은 프로그램 매매 수급에 포함되지 않음
✔ 기관 및 외국인이 API, 알고리즘 트레이딩, DMA 등을 이용해 자동 매매한 경우에만 프로그램 매매로 집계됨
즉, 거래소는 "누가 주문했는지(개인 vs 기관/외국인)"와 "주문 방식(API/알고리즘 vs 수동 주문)"을 기준으로 프로그램 매매 여부를 결정

📌 결론적으로 개인이 자동 주문을 걸어도, 거래소에서는 프로그램 매매로 인식하지 않습니다.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4.20) ISA 계좌  (1) 2025.04.20
(25.3.21) ISA계좌  (0) 2025.03.22
[프로그램 매매]에 대하여 : 수급 확인 방법과 의미  (0) 2025.03.15
(25.1.9) ISA계좌_현재보유 종목  (0) 2025.01.09
시작: 국내주식 매매일지  (1) 2025.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