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서는 파생상품에 대한 상세한 이야기는 제외하였다
결제약정
결제 약정의 영문명은 Trading volume이다. 즉, 거래량이란 얘기다.
누군가는 매수 포지션으로 누군가는 매도 포지션으로 거래가 되면 결제 약정(거래량)은 증가한다.
미결제약정
청산 되지 않고 남아있는 선물 계약의 총수량이다
포지션이 없는 사람이 매수(매도) 진행하게 되면 미결제 약정이 늘어난다.
포지션이 있는 사람이 현재 포지션과 반대의 매매를 진행하면 미결제 약정이 줄어든다.(청산)
어떻게 보면 쉬운 이야기이다. 미결제 약정이 늘어나는 것은 시장의 방향에 배팅하는 사람이 늘어나는 것과 같다.
다시 거래량(결제약정)과 미결제약정의 수량으로 정리해 보면
미결제약정이 많다 = 시장에 '에너지'가 있다
→ 참여자들이 많이 진입해 있고, 아직 청산하지 않은 것은 '기대감' '긴장감' '현재추세 지속가능성'을 의미한다.
미결제약정이 줄어든다
→ 시장 참여자들이 포지션을 정리하고 빠져나가는 중(청산)으로 추세의 '마무리', '전환' 가능성이 커짐
상황해석 예시
거래량 ↑, 미결제약정 ↑ | 신규 진입 활발, 추세 강함 |
거래량 ↑, 미결제약정 ↓ | 청산 중심의 거래, 추세 둔화 가능성 |
거래량 ↓, 미결제약정 ↑ | 관망 중 포지션 유지, 큰 변동 예고 가능성 |
거래량 ↓, 미결제약정 ↓ | 시장 관심 저하, 박스권 가능성 |
경제전문가들의 결제/미결제약정에 대해 이야기할 때 이해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5.1) ISA 계좌 (0) | 2025.05.01 |
---|---|
(25.4.20) ISA 계좌 (1) | 2025.04.20 |
(25.3.21) ISA계좌 (0) | 2025.03.22 |
[프로그램 매매]에 대하여 : 수급 확인 방법과 의미 (0) | 2025.03.15 |
[프로그램 매매]에 대하여 :산출(식별) 방식 (0) | 2025.03.09 |